창원중앙병원
주차장안내
LOGO
전문클리닉
  • 어깨클리닉
  • 수부클리닉
  • 척추클리닉
  • 무릎클리닉
  • 족부클리닉
  • 통증클리닉
  • 인공관절클리닉
  • 재활치료 클리닉
  • 스포츠손상센터
  • 소화기,내시경센터
  • 고객센터
  • 진료과목안내
  • 전문클리닉안내
척추클리닉
홈 > 전문클리닉 > 척추클리닉
  • 허리,목디스크
  • 척추관 협착증
  • 척추골절
  • 척추 측만증
1. 흉,요추부 골절이란
척추는 신체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고 몸의 균형과 중심을 잡는 부위입니다. 특히 뇌와 장기 및 사지 간의 신호를 전달해주는 신경의 줄기(척수)가 지나가는 통로로써, 이 신경을 보호해 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러한 척추는 반듯한 일직선상의 구조가 아닌 몇 개의 곡선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여기에 두개골, 상지골, 늑골, 하지골 등이 연결됩니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척추는 크게 4 부분으로 나뉘는데, 머리쪽부터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천추부 및 미골로 나뉘게 됩니다. 이 중 12개의 뼈로 이루어진 흉추부는 12쌍의 늑골과 가슴 중앙의 흉골로 이뤄지는 흉곽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위이며, 그 아래쪽에 5개의 뼈로 이루어진 요추부가 있습니다.  

  이 흉추부와 요추부(이하, 흉,요추부)는 신체 중 몸통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척추의 가장 긴 구간을 차지하고, 가장 움직임이 많은 유연한 부위입니다. 따라서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의 강한 외력에 의해 척추뼈가 부러지는 골절 등의 손상이 잘 발생하는 부위입니다.  특히, 산업의 발달, 놀이와 주거 공간의 대형화와 고층화, 교통의 고속화 등으로 척추가 손상당할 수 있는 위험이 많아지고, 평균 수명의 증가로 노인층에서 골다공증이 심해짐에 따라 이러한 척추 골절의 치료가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습니다.  흉,요추부 골절의 원인으로는 추락, 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등이 있고, 보통 추락으로 인한 손상이 제일 많으며 이때는 발뒤꿈치나 손목의 골절이 잘 동반됩니다. 약 50% 이상이 제 12 흉추와 제 2 요추 사이에서 발생하며, 흉,요추무 골절 환자의 약 15-20%에서 신경 손상이 동반됩니다.
2. 흉,요추부 골절의 증상과 진단
골절 발생 부위의 통증이 가장 기본적이고 흔한 증상이며, 척추 부위의 신경 즉, 척수나 신경근의 손상이 있는 경우 하지의 통증이나 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의 비교적 강한 외상 후에는 환자의 통증 호소 여부에 관련없이 반드시 척추부위 손상을 확인해야 합니다.

  척추가 손상될 정도의 외상이라면 두부 및 내부 장기, 혹은 다른 골격계 손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증상의 확인이 중요합니다. 특히 생명과 관련된 호흡이나 혈액순환 등의 확인이 무엇보다 우선이고, 척추 이외에 두부, 흉부, 복부 및 사지에 대한 면밀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척추 골절 때 잘 동반되는 다른 사지의 골절로는 종골(발 뒤꿈치 뼈), 경골(종아리 뼈), 손목 부위의 골절 등이 있습니다.

척추 골절 환자에 있어서 신경(척수 및 신경근)의 손상 유무 및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는 수술의 결정이나 예후 판정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척추 골절로 인한 신경 손상 시, 손상의 정도에 따라 손상 이하 부위의 감각이 없어지거나 운동이 마비될 수 있으며, 배뇨 및 배변 기능 장애등이 나타납니다.
3. 흉,요추부 골절에서의 방사선 검사
병원에 방문한 뒤 정형외과 의사의 검진을 통해 척추 골절이 의심되었다면, 여러가지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진하고, 이를 토대로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방사선 검사 방법으로는 단순 방사선 사진 (X-ray), 전산화 단층 촬영술(CT), 자기공명영상 (MRI) 등이 있습니다.  단순 방사선 사진(X-ray)은 척추 손상의 진단의 기초로, 쉽게 시행할 수 있고 충분한 진단한적 정보를 제공하지만, 가장 큰 단점은 척추손상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는데 있으므로 정밀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전산화 단층촬영은 골절 탈구나 신경학적 이상을 동반하는 척추골절에서 반드시 시행해야하는 검사이며, 특히 골절의 형태 파악 및 척추강 내로 골편의 전위를 알기위해서 필수적입니다. 특히 탈구, 방출성 골절, 심한 압박골절, 흉,요추부 및 요천추 이행부의 골절에는 기본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자기공명영상은 섬유륜, 추간판 및 근육, 인대등의 연부 조직을 관찰하는 데 우수할 뿐 아니라, 신경의 손상 유무와 정도를 알 수 있는 검사로써 예후 판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4. 척추 손상 환자의 응급치료
척추 손상 환자의 응급 처치는 사고 현장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우선 환자의 생명이 위태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호흡, 혈액 순환 등의 징후를 검사하고 이에 대한 응급 조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를 후송할 때에는 경추 보조기를 채운 상태에서 딱딱한 판자 위에 눕히고 몸통 양 옆을 모래주머니로 받쳐 환자가 움직이지 않게 한 후 운반합니다. 그래야 불안정성 골절이 있는 경우에 골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이차적인 신경손상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단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면 다른 주요 손상이 있는지 살펴보고, 척추 손상이 없다는 것이 확인될 때 까지는 척추 손상이 있는 갓으로 가정하고 환자를 다루어야 합니다.
5. 흉,요추부 골절 환자의 치료의 목적과 원칙
흉,요추부 척추 골절의 치료 목적은 생명을 유지하고 신경 기능을 보호하며, 척추의 올바른 정렬을 재건하여 안정성을 얻게 하여, 빠른 시일 내에 기동 및 재활을 할 수 있게 하여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에는 여러 가지 이견이 있으나, 신경증상이 없고 안정성을 보이는 골절은 보존적 방법 즉,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하고, 불안정성이 있거나 신경 손상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6. 흉,요추부 골절 환자의 비수술적 치료 방법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장기간의 침상 안정을 시키는 방법부터 흉,요추부 부위를 정복(과신전)한 후 석고 고정을 하는 방법, 일정 기간의 침상 안정 후 보조기를 착용하는 방법, 처음부터 보조기도 착용하지 않고 바로 보행을 허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중 어떠한 방법을 선택할 것인지는 골절의 형태와 골절 부위, 환자의 나이 및 동반 손상의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러한 치료 방법의 추세는 가능한 한 침상안정 기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골절 부위의 통증이 어느 정도 완화되어 큰 고통 없이 앉을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보조기를 착용시키고 보행을 시작하도록 합니다. 보조기는 3개월이상 착용하며, 그 후 보조기를 벗은 상태에서 X-ray 촬영을 하여 골절 부위에 비정상적인 운동성이나 변형의 증가가 심하지 않으면 보조기를 떼도록 합니다. 이 후 운동부족으로 인한 근육 약화를 회복시키기 위해 척추 근육강화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충분한 기간 보조기를 착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골절부위의 변형 증가 소견이 보이거나 비정상적인 운동이 보이면서 통증이 있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7. 흉,요추부 골절 환자의 수술적 치료 방법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골절된 척추를 정렬이 잘된 상태에서 고정해줌으로써 최대한 신경 기능의 회복을 얻을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수술적 치료의 장점이라면, 골절 및 변형을 직접적으로 교정할 수 있고, 눌리거나 손상당한 신경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처치할 수 있으며, 금속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빠른 시일 내에 기동이 가능하고, 환자의 간호가 용이하게 됩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첫째, 신경 손상에 의해 하지의 불안정한 마비 증상을 보이며 방사선 검사 상 골절된 뼈가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소견이 보이는 경우, 둘째, 골절 부위가 불안정하여 방치할 경우 변형이 생기거나 추가의 신경 마비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서 골절을 고정해야 하는 경우, 셋째, 골절로 인해 척추 뼈가 심하게 찌그러진 경우입니다.  수술 시기는 골절이 발생 후 5-7일간 안정을 취한 후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처가 있는 골절(개방성 골절)이나 신경 마비가 점차 진행될 경우에는 응급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수술 방법은 금속판이나 금속봉을 이용하여 척추의 전방 혹은 후방에서 고정하고, 필요에 따라 신경을 압박하는 뼈조각을 직접 제거하거나 골절 부위 유합을 위해 뼈를 이식하는 방법을 할 수 있습니다.